육아정보

약 먹고 토했을 때 대처법 | 아기 구토 후 복용 판단 기준 정리

cukciks 2025. 5. 23. 02:43
반응형

약 먹고 토했을 때 대처법 | 아기 구토 후 복용 판단 기준 정리

아기에게 약을 먹인 직후 갑작스러운 구토가 발생하면, 부모는 당황하게 됩니다. 특히 약을 다시 먹여야 할지, 기다려야 할지 판단이 어려운 상황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약 복용 직후 구토 상황별 대처법, 약물 재복용 여부 판단 기준, 약 종류에 따른 유의사항 등을 정리해 안내합니다.


1. 약 복용 후 토했을 때 확인할 것

① 구토 시점 확인

  • 복용 후 15분 이내 토했는지 확인 (약물 흡수 전일 가능성 높음)
  • 30분~1시간 이후 토한 경우는 약물 일부 흡수됐을 수 있음

② 토사물 상태 관찰

  • 약 색깔이나 내용물이 그대로 섞여 나온 경우: 흡수 전 가능성 큼
  • 음식물과 섞여 희미한 경우: 흡수 일부 진행되었을 가능성 있음

2. 약 복용 후 구토 시 기본 대처 순서

  1. 입안 내용물 닦아내고 아기 안정시키기
  2. 구토로 인한 탈수를 방지하기 위해 미온수 소량 제공
  3. 즉시 다시 먹이지 말고 최소 20~30분 간 관찰
  4. 반복 구토가 없고 안정되면 재복용 여부 판단

3. 재복용 여부 판단 기준

구토 시간 대처 방법
복용 후 5~10분 내 구토 대부분 흡수되지 않았으므로 재복용 가능성 높음 (약사 상담 필수)
복용 후 15~30분 내 구토 약물 종류에 따라 재복용 여부 결정 (의료진 문의 권장)
30분 이상 후 구토 대부분 흡수되었을 수 있어 일반적으로 재복용 권장되지 않음

재복용 전에는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에게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4. 약물 종류에 따른 구토 시 주의사항

① 해열제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 복용 후 15분 이내 구토 시 재복용 고려
  • 반복적 구토가 있을 경우 좌약 대체 가능

② 항생제

  • 일정 간격 유지가 중요한 약물 → 복용 시간과 간격 기록 필수
  • 토한 경우에도 무분별한 중복 투여 금지, 의사 지시 따름

③ 감기약 (시럽, 분말)

  • 20분 이내 구토 시 재복용 가능하나, 복용량 중복 주의
  • 시럽약은 복용량 적어도 금방 토하면 효과 없음 가능성 높음

5. 예방 팁: 약 먹인 후 구토 방지법

  • 약 먹이기 전후 울거나 몸부림치는 상황 피하기
  • 공복 상태에서는 미지근한 물 한두 모금 후 약 투여
  • 약 먹인 직후 바로 눕히지 않고 안고 안정을 취하도록 유도
  • 약맛이 거부감 크다면 차게 해서 먹이기 (단, 냉장보관 가능 약에 한함)

6. 병원 진료 필요한 경우

  • 약 복용 후 2회 이상 반복 구토 시
  • 구토에 발열, 설사, 복통 동반 시
  • 약 복용 직후 의식 저하, 호흡 이상, 두드러기 등 알레르기 반응 발생 시
  • 수분 섭취도 거부하고 탈수 의심될 때

결론

아기에게 약을 먹인 직후 구토가 발생했다면, 당황하지 말고 토한 시점과 상태를 먼저 확인하고, 재복용 여부는 약물 종류에 따라 판단해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무리하게 다시 먹이기보다 의료진과 상담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며, 반복 구토가 있는 경우는 좌약 대체나 약 변경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아기의 컨디션을 잘 관찰하며 침착하게 대응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반응형